DCT ?
변환을 통해 대상 정보를 압축하기 용이하도록 가장 적합한 표현으로 바꾸는 것이다. 즉 변환 자체는 압축이 아니다.
영상 압축을 위해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이 DCT를 이용하면 영상을 공간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는 변화가 적으므로 낮은 주파수, 특히 0 주파수(DC)성분이큰 값을 가지게 되고 높은 주파수 성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게되므로서, 대부분의 정보가 낮은 주파수 쪽으로 몰리게 되므로 양자화 과정을 적절히 거치면 높은 압축률로 우수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벡터 양자화 기법은 특히 음성(speech) 부호화에 적합하다.
from more http://mmlab.snu.ac.kr/~shlee/MMCW/comp4_6.htm
영상 압축에 많이 이용되는 알고리즘으로는 JPEG, MPEG, DVI, AVI등이 있고 압축율도 2:1 정도에서부터 200:1까지 매우 다양하다. JPEG이나 MPEG은 국제 표준으로 정해져 있는 압축 알고리즘으로 압축 기법으로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변환 코딩의 한 형태-를 이용하며 JPEG은 정지영상을, MPEG은 동영상을 압축하는 규격이다. AVI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계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동영상 압축 규격이며 Video for Windows등이 이를 지원한다.
영상 압축 연산에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가 많은 종류의 다양한 영상에 대해 가장 잘 동작함이 밝혀졌다. DCT는 푸리에 변환가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DCT가 매우 작은 크기의 영상을 간편하게 표현하는데 더 낫다는 것이다. 작은 픽셀 블록이 일반적으로 블록 코딩에 쓰이기 때문에, DCT를 많이 쓰는 것이다. 그러나 DCT는 퓨리에 변환보다 더 많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DCT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는 직교 교환의 하나로서, DFT와 같은 종류라 할 수 있다. DCT 수행과정을 살펴 보면, 영상 데이터를 8x8 의 블록으로 나누고, 이 블록내의 화소에 대해서 DCT의 연산을 행한다.
from more http://mysope.hihome.com/Image%20Processing/DCT.doc